“맛있다”만 반복하는 리뷰, 이제는 그만!미식 칼럼니스트들이 실제로 쓰는 맛 표현력 훈련법과한식의 고유한 맛, 커피·디저트 등 다양한 음식에 어울리는실전 어휘·관찰법·스토리텔링까지, 맛의 언어를 키우는 비법을 공개합니다.1. 어휘력, 맛 표현의 기본을 다져라◼ 다양한 맛의 어휘를 익히고, 나만의 단어장을 만들어보세요- “고소하다, 담백하다, 진하다, 시원하다, 깔끔하다, 풍미가 깊다, 감칠맛이 돈다, 산뜻하다, 쫄깃하다, 바삭하다, 촉촉하다, 알싸하다, 은은하다, 향긋하다, 그윽하다…”- 한식의 ‘시원하다’처럼 우리 고유의 맛 표현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세요. 이 ‘시원하다’는 단순히 온도가 아니라, 속이 풀리고 기운이 도는 내장·심사 미각까지 아우르는 말입니다.- 커피·디저트·와인 등에는 “플로럴, 프루..
일상.자기계발/이맛, 저맛 평가론
2025. 5. 28.
“맛있어요!” 한마디로 끝내는 시대는 지났습니다.미식가와 맛집 블로거라면, 이제는 오감과 과학, 그리고 비교 평가까지음식의 본질을 꿰뚫는 진짜 맛 평가법을 알아야 할 때입니다.실제 사례와 전문가 기준을 바탕으로, 맛의 본질을 파헤치는 평가법을 공개합니다.1. 오감(五感)으로 맛을 평가하라 – 미각, 후각, 시각, 촉각, 청각◼ 맛의 본질은 미각에만 있지 않다- 진짜 맛 평가는 미각(맛)뿐 아니라 시각(색감, 플레이팅), 후각(향), 촉각(질감), 청각(씹는 소리)까지 오감을 모두 활용해야 완성됩니다.- 전문가들은 색감과 플레이팅, 향의 강도와 조화, 씹는 질감과 소리, 그리고 단맛·짠맛·신맛·쓴맛·감칠맛(우마미)의 균형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.- 실제로 미식 평가에서는 각각의 감각별로 세부 항목을 나누어..
일상.자기계발/이맛, 저맛 평가론
2025. 5. 28.
“맛집 리뷰, 어떻게 해야 신뢰를 얻을까?”단순한 감탄에서 벗어나,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이 필요합니다.실제 블로거와 미식가, 소비자 설문까지 반영한맛 평가의 5가지 핵심 기준을 정리해드립니다.1. 맛 – 모든 평가의 출발점◼ 음식의 본질, 결국 ‘맛’이 기준이다- 맛집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건 역시 ‘맛’입니다.- 최근 설문에서도 “음식의 맛이 1순위”라는 응답이 84%로 압도적이었고, 실제로 블로거들도 별점 기준의 첫 번째로 ‘맛’을 꼽습니다.- 여기서의 맛은 단순히 ‘달다, 짜다’가 아니라, 재료의 신선함, 조리의 완성도, 풍미, 감칠맛, 여운 등 오감을 모두 아우르는 종합적 경험입니다.◼ 사례 “국물이 깔끔하고 깊은 맛이 나서 숟가락을 멈출 수 없었다”, “고기의 풍미와 밥의 식감이 완..
일상.자기계발/이맛, 저맛 평가론
2025. 5. 26.